비교 상품 소개
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2호 (458760) 상품과 TIGER 미국S&P500 (360750) 상품의 성과를 수익률과 위험도로 비교합니다.
주의: 해외 종목은 야후 파이낸스 데이터를 이용합니다. 야후 파이낸스는 종목에 따라 배당 내역 일부가 누락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. 이로 인해, 배당 재투자를 가정하여 비교한 분석 결과는 부정확할 수 있습니다. 참고: 야후 파이낸스 수정 > 주가 오류 (일부 분배/배당 내역 누락으로 인한 부정확한 TR값)
주의: 해외 종목의 주가는 야후 파이낸스 데이터를 이용합니다. 종목이 액면 분할/병합될 경우 배당금이 보정되지 않으면, 배당 재투자 가격(TR; Total Return)이 과대/과소 추정될 수 있습니다. 최근 1 : 3으로 액면 분할한 SCHD의 경우에도, 실제보다 높은 배당 재투자 수익률로 표기되고 있습니다. 다른 사이트를 이용하여 다시 한 번 확인하길 권합니다. 사이트 예: ETF CHECK
주의: 개별 종목의 상장 기간은 다를 수 있습니다. 상장 기간이 짧은 종목을 기준으로 정렬합니다.
지난 성과
두 상품의 성과를 비교할 수 있는 가장 긴 기간은 최근 1년 5개월입니다. 아래는 이 기간의 성과1를 그래프와 표로 나타낸 것입니다. 그래프 범례에서 괄호안의 퍼센트 수치는 CAGR2입니다. 하단의 보조 그래프는 TIGER 미국S&P500 대비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2호의 비를 나타냅니다.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2호의 수익률이 TIGER 미국S&P500보다 지속적으로 우세하면 상승하고, 반대의 경우에는 하락합니다.
종목 | CAGR | 편차 | 샤프 | MDD | AvDD |
---|---|---|---|---|---|
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2호 | 18.2% | 10.7% | 1.71 | -8.1% | -2.0% |
TIGER 미국S&P500 | 35.1% | 12.2% | 2.89 | -9.1% | -1.4% |
성과를 분석하는 전통적인 방법인 수익률과 위험도3를 살펴봅니다.
수익률 지표 (CAGR):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2호의 CAGR은 18.2%로 TIGER 미국S&P500의 35.1%보다 -16.9% 낮았습니다. (낮은 수익률)4
위험도 지표 (표준편차):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2호의 표준편차는 10.7%로 TIGER 미국S&P500의 12.2%보다 -1.5% 낮았습니다. (낮은 위험도)
위험도 지표 (MDD):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2호의 8.1%의 MDD는 TIGER 미국S&P500의 9.1%보다 -1.0% 낮았습니다. (낮은 위험도)
동일 수준 위험 노출을 위한 비중 조절
수익률과 위험도가 다른 상품을 비교하는 방법의 하나는, 둘 중 하나를 동일하게 설정하고, 나머지 하나를 비교하는 것입니다. 여기서는 TIGER 미국S&P500의 투자 비중5을 조절하여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2호의 위험도와 유사하게 맞추어 수익률를 비교합니다.
위험도 지표 (표준편차): 표준편차를 동일한 값으로 맞추기 위해서는 12.2% / 10.7% = 88% 비중으로 투자하면 됩니다.6
위험도 지표 (MDD): MDD를 동일한 값으로 맞추기 위해서는 9.1% / 8.1% = 89% 비중으로 투자하면 됩니다.
동일 수준 위험하에서의 추정 성과
아래는 비중을 조절한 경우를 추가하여, 그래프와 표에 성과를 기록한 것입니다. TIGER 미국S&P500STD는 표준편차를 맞춘7 경우이고, TIGER 미국S&P500MDD는 MDD를 맞춘 경우입니다. 앞에서와 같이 그래프 범례에서 괄호안의 퍼센트 수치는 CAGR입니다.
종목 | CAGR | 편차 | 샤프 | MDD | AvDD |
---|---|---|---|---|---|
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2호 | 18.2% | 10.7% | 1.71 | -8.1% | -2.0% |
TIGER 미국S&P500 | 35.1% | 12.2% | 2.89 | -9.1% | -1.4% |
TIGER 미국S&P500STD (88%) | 30.3% | 10.7% | 2.84 | -8.0% | -1.2% |
TIGER 미국S&P500MDD (89%) | 30.7% | 10.8% | 2.85 | -8.1% | -1.3% |
각각의 경우를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2호의 성과와 비교해 봅니다.
위험도 지표 (표준편차): 88% 투자 비중으로 표준편차를 비슷한 수준으로 맞추면, CAGR은 30.3%로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2호의 18.2%보다 12.1% 높았습니다. (높은 수익률)
위험도 지표 (MDD): 89% 투자 비중으로 하여 MDD를 비슷한 수준으로 맞추면, CAGR은 30.7%로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2호의 18.2%보다 12.4% 높았습니다. (높은 수익률)
최종 비교
주의 투자 시점과 기간, 그리고 전략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. 백테스트 기간이 짧은 경우 통계적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. 미래에도 동일한 경향이 지속된다고 보장할 수 없습니다.
지난 1년 5개월간 거치식으로 투자했다고 가정합니다.
TIGER 미국S&P500의 투자 비중을 조절하여 표준편차나 MDD를 동일하게 맞추면, CAGR이 평균 30.5%인 포트폴리오를 만들 수 있습니다. 이 포트폴리오는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2호의 18.2%보다 12.2% 높았습니다.
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2호 < TIGER 미국S&P500
관련 정보
- [초급 부록 A1] 커버드콜 ETF는 기초 자산(본주)보다 좋을까? (미국배당다우존스 지수편)
- PLUS 미국배당증가성장주데일리커버드콜 - 한 판 붙자 타미당+7%, 코미당+10%! (내가 더 효율적이야!)
-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 - 분배 기준일을 월중으로 설정한 대체재 (삼성자산운용의 빈집털이 전략은 성공할 수 있을까?)
- TIGER 미국배당+7%프리미엄다우존스의 수익률과 위험은 어느 정도일까? (지수 개발사의 데이터로 추정해 보자!)
- 커버드콜 ETF 대신 기초 자산으로 현금 흐름을 만들면? (시장 대표 지수편)
- TIGER 미국배당+7%프리미엄다우존스는 분배금을 얼마나 손해 봤을까? (기초 자산을 매도해서 현금 흐름을 만들어보자)
- TIGER 미국배당+7%프리미엄다우존스의 수익률은 왜 좋지 못했을까? (커버드콜 ETF를 수식으로 표현해 보자!)
- KODEX 미국배당+10%프리미엄다우존스 (삼성자산운용의 자존심은 회복될 수 있을까? 포장을 바꾸어서 팔아보자!)
- 커버드콜은 정말 하락장과 횡보장에 유리할까?
- 커버드 콜 전략은 유용한가? (커버드 콜 전략을 쓰는 주요 ETF의 지금까지 수익률과 분석)
-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ETF 삼총사는 출시 후 어떤 성과를 거두었을까?
- TIGER 미국배당+7%프리미엄다우존스 ETF는 정말 고배당을 지속할 수 있는 상품일까?
- 유사 종목 성과 비교 목록
- ETF CHECK
-
가능한 경우 배당까지 고려한 주가 데이터를 이용하였습니다. 현재로는 국내 일반 종목의 경우 배당이 고려되어 있지 않으며, 국내 ETF와 해외 종목은 배당이 고려되었습니다. 각종 수수료, 세금 등 부대비용은 고려되지 않았습니다. ↩
-
CAGR(Compound Annual Growth Aate, 연평균 성장률)는 해당 기기 동안의 수익률을 연평균 복리 수익률로 환산한 수치입니다. ↩
-
리스크(risk)로도 번역되는 위험도는 손실 가능성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. 해당 수익률을 달성하는데 얼마만큼의 불확실성이 있는지에 대한 지표입니다. 예를 들어 동일한 연 10% 수익률을 기대하는 상품이라도 최고 수익률이 높은 상품은 위험도가 높다고 판단합니다. ↩
-
통계적 분석에 의한 비교가 아닌, 1% 절대값을 기준으로 한 평가입니다. ↩
-
투자 비중은 경우에 따라서는 100% 넘을 수 있습니다. 이는 비교 대상보다 더 나은 투자 상품인 경우에 흔히 발생합니다. 투자 비중은 현금을 일부 보유 또는 차입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 이 분석에서는 이러한 현금과 관련한 이자 또는 비용은 감안하지 않았습니다. ↩
-
표에도 나와 있는 샤프 지수(Sharpe Ratio)를 계산하여 비교하는 방법과 동일합니다. 표에서의 샤프 지수는 무위험 수익률을 0%로 가정하였습니다. ↩
-
간단한 수식으로 위험도를 맞추기 위한 비중을 계산했기에, 경우에 따라서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 ↩